2020년의 끝이 다가오고 있다. 2020년은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팬데믹으로 시작하여 그것으로 끝이 난 한 해였다 해도 무리가 없을듯하다. 그 시간을 견디며 전 세계의 사람들은 어떤 콘텐츠를 보았을까? 2020년 유튜브 인기 영상을 살펴보도록 하자.
조회수 상위권의 영상은 그야말로 조회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유익한'영상이기 이전에 '화제성'을 가진 영상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고, 음악 콘텐츠(MV)이거나 자극적인 콘텐츠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곤 한다. 음악은 세계적으로 공통 관심사이므로 훨씬 많은 사람들에게 접근성이 높고, 자극적인 영상의 경우엔 단순히 자극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조회수가 높을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매년 조회수 상위권의 영상을 확인하긴 하지만, 그 영상들이 항상 볼만 한 가치가 있는 영상들인 건 아니다. 특히, 한국에서 인기 있는 영상들이 그러하다. (단순 취향의 이유일 수도 있다.)
조회수 탑 순위 영상과는 별개로 유튜브는 2020년 한 해 동안 미국의 트렌딩 영상을 발표했다. 매년 연말이면 Rewinde 영상도 공개하는 등 한 해 동안의 결산을 해주는데, rewinde 영상은 릴리즈 되는 대로 다시 한번 리뷰를 해보겠다.
다음은 유튜브의 코멘트.
올해의 탑 트렌딩 영상들은 2020년의 예측할 수 없던 위기들을 크리에이터들이 얼마나 빠르게 받아들였는지를 보여주는 한편 유튜브 커뮤니티만의 특별하고 사적인 일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인종 차별에 대한 시위가 나라를 휩쓸었을때 데이브 샤펠은 그의 생각을 연설 영상으로 남겼고 이 '사회적 거리두기' 쇼는 많은 사람들의 감정을 사로잡았다. 시청자들이 가벼운 콘텐츠를 찾았을 때 크리에이터들은 역시 옵션을 주였다. 마크 로버는 다람쥐들을 위한 닌자 코스를 제작했고, 미스터 비스트는 세계에서 가장 큰 불꽃놀이로 독립기념일을 축하하였다. 듀드 퍼펙트는 자가격리에서 나타나는 스테레오 타입들로 웃음을 주었고 존 크러진스키는 SomeGoodNews를 통해 긍정적인 이야기들을 나누었다. 또한 이 리스트에는 가장 뷰가 많은 커밍아웃 영상, 결별 고백 영상, 유명 게임 진행 영상, 대선 패러디 영상 등이 포함되어 있다.
US Top Trending Youtube video 2020
-
Netflix Is a Joke – 8:46, Dave Chappelle
미국 스탠딩 코미디언 데이브 샤펠의 영상으로 지난 6월 공개되었다. 지난여름 미국을 강타한 조지 플로이드 사건을 다루고 있으며 제목인 '8:46'은 조지 플로이드가 미네소타주 경찰에게 압박당한 당시 사건이 벌어졌던 시간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2,900만 뷰 -
Mark Rober – Building the Perfect Squirrel Proof Bird Feeder
여러 가지 실험 및 DIY를 하는 유튜버가 만든 다람쥐 먹이 주는 놀이터(?) 영상이다. 영리한 다람쥐들이 새의 모이통을 강탈하지 않도록 다람쥐들만의 먹이통을 만들어 준 영상이다. 다람쥐들도 귀엽고 아이디어도 재미있고 볼수록 빠져든다. 지금까지 5,000만 뷰 -
SNL – First Debate Cold Open
미국 대선 후보들의 TV토론회를 패러디한 영상. 지금까지 2,900만 뷰 -
JeffreeStar – We Broke Up
미국의 뷰티 유튜버 제프리스타. 게이이다. 결별 고백(?)영상이다. 지금까지 3,300만 뷰 -
MrBeast – I Bought The World’s Largest Firework
60만불 짜리 불꽃놀이. 지금까지 5,600만 뷰 -
NikkieTutorials – I’m Coming Out.
뷰티 유튜버, 그녀가 트랜스젠더 임을 고백하는 영상이다. 지금까지 3,600만 뷰 기록 -
Dream – Minecraft Speedrunner VS 3 Hunters GRAND FINALE
게임 중계 영상. 지금까지 5,100만 뷰 -
NBC – Ricky Gervais’s Monologue – 2020 Golden Globes
리키 제바이스의 2020년 골든 글로브 수상식 모놀로그 영상. 촌철살인 멘트로 인기를 얻었는데 지금은 비공개 영상이다. 수상자들에게 수상 소감으로 정치적 이슈를 언급하지 말라고 직구를 날림. 지금까지 1,600만 뷰 -
Dude Perfect – Quarantine Stereotypes
코로나 시대를 대처하는 우리의 캐릭터 유형을 코믹하게 표현한 영상이다. 지금까지 4,600만 뷰 -
SomeGoodNews – Some Good News with John Krasinski – Ep 1
배우이자 제작자인 존 크러진스키가 만든 채널로 코로나 시대를 버티기 위해 만든 웹시리즈의 첫 영상. 지금까지 1,800만 뷰
2020 우리나라의 조회수 탑 순위는?
한국의 조회수 탑순위 영상 리스트도 공개되었다. 조회수 상위 영상들이 대부분 뮤직 비디오 영상들인지, 뮤직비디오 순위와 뮤직비디오를 제외한 순위를 별도로 공개하였다. 일반 조회사 상위 영상들은 순수 조회수 순서인지 위의 미국 리스트와는 다르게 의미 있는 영상들은 아니다. 음 본 영상은 하나도 없지만, 굳이 찾아보지 않아도 될 것 같은 내용들이다.
순위를 살펴보면, 1위는 역시 코로나 관련 영상이고 나머지는 몰카, 유튜버들의 사과 영상 등이 차지하고 있다.
대체 사과 영상은 뭣에 쓰려 이리도 많이 본 단 말인가. 물론 전후 사정은 급성장한 인플루언서 광고 시장의 이면이라는 어마무시한 사정을 담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유튜브 인플루언서들을 활용한 광고 마케팅의 붐이 일었고, 구독자들 또한 이 사실을 알고 있었다. 고소득 유튜버들에 대한 관심과 이러한 광고 활동에 대한 감시(?)의 시선이 공존하면서 구독자들에게 알리지 않고 뒷광고를 진행한 유명 유튜버들의 행동이 문제가 되었던 것이다. 문제가 된 유튜버들은 사과 영상을 올렸고 해당 유튜버들의 인기가 높았던 만큼 그 영상들의 뷰 역시도 높아졌다.
광고로부터 소비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규정이 있으니 유투버들이 유튜브 영상에서 광고를 진행하는 것에 신중해야 할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이러한 일련의 영상들 자체가 이렇게 뷰가 높을 건 또 무슨 이유란 말인가.
2020년 국내 최다 조회수 유튜브 동영상 Top 10은 아래와 같다.
뉴스 출처 - Fast Company
'Trend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 안야 테일러 조이의 퀸스 갬빗으로 관심얻기 성공 (0) | 2020.12.06 |
---|---|
세일즈포스, 슬랙 280억 달러에 인수 / Slack (0) | 2020.12.04 |
2021년에 위험한 직업군 20가지 (0) | 2020.11.30 |
구글 포토 유료 전환 / Google photo (0) | 2020.11.29 |
스냅챗 틱톡의 대안을 마련하다 / Snapchat (0) | 2020.11.28 |
댓글